티스토리 뷰

대학진학을 앞두고 있다면, 취업을 준비하고 있다면, 혹은 이직을 생각하고 있다면,

한숨이 절로 나온다. 나에게 딱 맞는 대학, 직장은 무엇일까?

 

 

진로를 찾을 때 가장 큰 고민은 바로 나는 무엇을 잘하는가 모른다는 점이다.

고민만 한다고 누군가 나에게 딱맞는 진로를 찾아서 대령해줄일은 없다.

나의 진로는 내가 스스로 찾아야 한다.


강점검사

내가 잘하는 것이 무엇인지 찾을 때 무엇부터 해야할지 모르겠다면

스트렝스 5 에서 제공하는 강점검사 프로그램을 추천한다.

성인검사, 청소년검사가 있는데 본인의 연령에 맞게 선택하면 된다.

대신 1만원 비용이 있다. 유료검사다. 

하지만 커피 두잔 값으로 진로 고민만 하다가 날리는 기회비용을 아낄 수 있다면 충분히 해볼만하다.

 

다른 많은 적성검사, 심리검사처럼

단순한 질문에 4-5개 답안 중 하나를 고르는 객관식 문항 유형이다.

124문항이라 많아 보이지만 15분 정도면 충분히 풀 수 있다.

 


백문이불여일견 어떤 것을 알수 있는지 직접 보자.

아래는 본인의 강점검사의 결과를 재작성한 일부내용이다.

 

대표강점

 

먼저 알 수 있는 점은 대표강점이다.

25가지의 강점들 중에 검사를 통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5가지 강점대표강점이다.

대표강점은 아니지만 높은 점수를 받은 차순위 강점들은 후보강점이 된다.

 

강점발현 유형

25가지의 강점들은 7가지 유형에서 파생된다. 

성실한, 지혜로운, 의로운, 섬기는, 다정한, 유쾌한, 열중하는 

나는 대표강점이 한가지 유형에 몰려있다. 나는 압도적으로 성실한 사람 유형이다.

행복한 삶의 기준

또 한가지 검사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행복한 삶을 인식하는 방법이다.

사람마다 행복의 기준이 다른데 스트렝스 5는 행복의 기준을 세가지로 분류했다.

충실한 삶 / 의미있는 삶/ 즐거운 삶

충실한 삶을 살 때 행복을 느끼는 사람이 있고, 즐거운 삶을 살 때 행복을 느끼는 사람이 있다.

나는 충실한 삶을 살 때 행복을 느끼는 사람이다

 

행복의 기준은 대표강점과 강점발현유형과도 연결된다.

즐거운 삶은 다정한, 유쾌한 유형의 사람들이 행복을 느끼는 기준이다.

의미있는 삶은 의로운, 섬기는, 지혜로운 유형의 사람들이 느끼는 행복의 기준이다.

충실한 삶은 열중하는, 성실한, 지혜로운 사람들이 느끼는 행복의 기준이다.

 

대표강점은 사람마다 다르다

대표강점은  인생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이다.

나도 모르게 드러나는 것이다. 자연스러운 나의 모습이다.

 

책임, 신중, 조절, 진솔, 끈기

 

이 다섯가지는 누가 시켜서 하는 행동이 아니라 남이 시키지 않아도, 보지 않아도 

안하고 있으면 불편한 것들이었다. 참지 못하고, 자연스럽게, 나도 모르게 하는 것이다.

남이 뭐라고 해도, 절대 포기하지 못하는 부분이다.

때려 죽어도 양보하지 못하는 부분이다.

 

남들이 보기엔 유별나다고 생각이 들 것이다. 그만큼 남들도 인정하는 강점이다.

 

한가지 더 살펴보자면, 대표강점을 거스르는 행동을 참지 못한다는 점이다.

대표강점을 위협하는 사람을 만났을 때, 눈에 거슬리고, 짜증이 나고, 심하게는 혐오한다.

남들은 이해하지 못하는 분노 포인트다.

 

분노하거나 강요하지 않는 자세

 

대표강점은 타인에 비해 뛰어난 장점이지만, 타인과 갈등을 일으키는 단점이 되기도 한다.

진정한 강점이 되기 위해서는 나의 대표강점을 타인에게 강요하지 않아야 한다.

대표강점을 가진 사람은 지켜야 할 기준점이 타인보다 월등하게 높다.

내가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를 완벽하게 이루려고 하는 성향이 짙다.

유별나게 높은 기준점을 타인에게 강요할 때는 폭력이 된다.

물론 기본적인 예의와 규칙은 지켜야 하지만 나만의 높은 기준점을 맞추라고 강요해서는 안된다.

나의 장점을 찾았다.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고 꾸준히 노력하는 사람이다.

변수를 제거하고 조직 전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사람이다. 

삶의 즐거움과 의미보다는 충실함을 중요하게 여긴다.

즐거움과 의미만을 찾는 사람들과 갈등을 겪는다.

 

나의 장점을 완성하려면 나와 다른 모습을 가진 사람을 포용해야 한다.

대표강점의 완성은 나와 반대되는 이들을 포용하는 것이다.

최근에 올라온 글
글 보관함